-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애경(Kim, Ae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2호, 615~6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회복탄력성 및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과 강원도 소재 4년제 대학 4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20일부터 12월 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31명의 자료가 SPSS 프로그램으로 최종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학업소진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학업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회복탄력성은 높았고, 학업소진은 낮았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업소진을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증진하고 회복탄력성 요인들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burnout. For this purpose, 370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Jeonbuk and Gangwon provinces were surveyed from No ember 20 to December 5, 2017, and 331 of them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factors.
Also,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Second, students with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silience, and less academic burnout. Third, sub-factors of resilience(control, positivity, sociality)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burnou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also to improve the resilience factors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the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