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Change of Motivation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영(Kim, Nayoung) 황혜영(Hwang, Hy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2호, 691~7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15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중학교로 이동하는 전환기(school transition)를 중심으로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 잠재집단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경기 교육종단연구 3차년도의 초등학교 6학년과 4차년도의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총 2,848명의 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자기결정성동기 프로파일은 각각 5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측정시점 모두에서 무동기형, 높은 자율성 동기형, 높은 통제성 동기형, 중간 동기형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낮은 동기형은 초등학교 6학년에서만 강한 동기형은 중학교 1학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양상은 높은 자율성 관련 동기 수준을 가진 집단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 성 동기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결과,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변화가능성이 함께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진학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 동기의 부정적인 변화를 최대한 줄이고 학생의 자율성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features of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and identifies transition patterns of student motivational profil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he third and fourth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N=2,848) a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elementary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are classified into five subgroups: ‘amotivation’, ‘low motivation’, ‘high autonomous motivation’, ‘high controlled motivation’, and ‘moderate motivation’. Middle school students’ profiles include ‘amotivation’, ‘moderate motivation’, ‘high autonomous motivation’, ‘high controlled motivation’, and ‘strong motivation(i.e., high autonomous and high controlled). Second, for patterns of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student motivational profile,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level of autonomous motivation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students’ motivational profiles show changeability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