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RF Sensitivity Experiments of the Polar Low Development Accompanied by Heavy Snowfall on 11 February 2011 to Orography Spec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재규(Lee, Jae Gyoo) 김유진(Kim, Yu Ji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4호, 27~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국문 초록
2011년 2월 11일 동해 남부 해상에서 발달한 극저기압 사례를 대상으로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산악 지형 효과가 극저기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산악이 있는 조건과 산악을 제거한 조건으로 WRF 모델을 각각 설정하여 일련의 WRF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실험 결과, 한반도 북쪽 산맥군의 존재는 이 극저기압이 발달하기 위한 필수 조건임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한반도 남쪽 산맥군보다 북쪽 산맥군이 극저기압의 발달과 이동 경로에 있어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풍하측에 위치한 일본열도의 지형 효과는 극저기압의 발달과 이동 경로에 있어 한반도 산악 지형 효과에 비해 훨씬 영향력이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o study the effects of mountainous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Japanese Islands on the polar low development over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on 11 February 2011, a series of sensitivity experiments for full-mountain and no-mountain cases was conduct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experiments showed that the existence of the northern mountainous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olar low and clearly indicated that the northern mountainous areas had larger effects on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paths of the polar low than the southern mountainous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had.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effects of the mountainous areas in the Japanese Islands located at the leeward side on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paths of the polar low were relatively much smaller compared to the effects of the mountainous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Key words : Polar Low, Sensitivity Experiments, Heavy Snowfall, WRF, Orographic Effect
목차
1. 서 론
2. WRF 수치모델 설정 및 실험 방법
3. 수치모의 결과 분석
4.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