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methods to asses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열(Lee Jae-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1호, 59~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자, 평가대상자인 예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평가 방법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동료평가, 전문가평가 중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쌍대비교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계층분석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총 29명의 유효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실천적 교수역량을 평가함에 있어 예비 교사들은 전문가평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상대적 중요도 비교 결과 자기 평가의 4.1배, 동료평가의 2.7배 정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구성요인의 특성에 따라 평가 방법의 중요도를 다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학생과의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동료평가를, 성의와 열의 영역에서는 자기평가를 좀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평가할 때 평가대상자인 예비교사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assessment methods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to be assesse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of pre-service teachers was conducted for compa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assessment methods – self-assessment, peer-assessment, and expert-assess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lid 29 questionnair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expert-assessment as the most important in assessing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and recognized that 4.1 times of self-assessment and 2.7 times of peer-assessment are important as a result of relative importance comparis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ssessment metho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s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For example, peer-assessment was
found to be important in ‘interaction’, and self-assessment was important in ‘sincerity and enthusia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assessment methods can be used not only expert-assessment also self- and peer-assessment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sses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목차
Ⅰ. 서 론
Ⅱ. 실천적 교수역량 평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