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personal and relational variables influencing chil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나(Lee, Mina) 이희연(Yi, Heeyeon) 김민정(Kim,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1호, 703~7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모집을 위하여 2017년 3월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월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80명과 만 3~5세 학급 유아 459명이다. 자료분석은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개인적 요인인 기질 중에서는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행동이 더 적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관계적 요인 중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의존성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기질 중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외현 화 문제행동을 적게 보였다. 관계적 요인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갈등이 높을수록, 또래 놀이상호작용에서 놀이방해가 많이 일어날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한 교사 역할과 함께 유아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 ’ s personal and relational variables on child problem behavio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March, 2017, and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T he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80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 yeonggi area and 459 children aged 3-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 of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predict low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igh level of emotionality predict high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the relational factors, the higher the dependency on teachers, the stronger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Secon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higher in high level of emotionality. The higher the effortful control, the less the external behavior problem behaviors were. In the relation factor, the higher the conflict with teacher relationship, more disturbance occurred in the peer play interaction, the more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role of teachers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