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w sport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n approach by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희숙(Park, Heesuc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791~82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뉴스포츠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체육교사들의 자결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에 의한 뉴스포츠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교육적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뉴스포츠 지도경험이 있는 D광역시
체육교사들 2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50개의 Q모집단을 수집하고, 진술문의 변별력과 내용타당도를 고려하여 최종 25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후에 개방형 질문에 참여한 29명을 대상(P-sample)으로 Q분류(Q-sorting)를 실시한 후 이를 QUANL Program에 의한 주인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별, 교육경력에서 각 유형별로 차이를 발견하였고 체육교사의 인식은 3개 유형으로 탐색되었다. 각 유형별 응답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해석하여 ‘참여지향형과 ‘교육가치 지향형’, 그리고 ‘인성함양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특히, 교사의 ‘뉴스포츠는 모든 학생이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학교체육의 프로그램의 다양성, 전문성과 학생들의 다양한 가치를 반영한다면 새로운 체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안적인 뉴스포츠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by seeking for the plans to activate new sports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on the new sports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based on such. To do this, open-ended surveys were conducted on 20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from D metropolitan city with experience in teaching new sports and collected 50 Q population, and selected 25 Q samples considering the distinction of the statements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 Afterwards, 29 people who participated into the open-ended survey were classified by Q-sorting and they were analyzed with
principle factor analysis by QUAN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level of experience per category and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ere explored into three types. The categories were named participation oriented type , educational value
oriented type , and character formation oriented type with the attitudes of the respondents in each category as the central focus for analysis. Especially, if the instructors apply the diversity, expertise, and the different values of the students to the school s physical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awareness that the new sport
must be a program were all students can participate, then the alternative new sports can be activated as a part of the new physical education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