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mart Education and the Status on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연(Kim, hoyeon) 김은하(Kim, eun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97~1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1명의 서울, 경기지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8년 2월~4월에 토론 내용을
의미단위로 나누어서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과 스마트 기기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는 스마트 교육과 스마트 기기에 대해 교사개인성향과 학교의 분위기에 따라 그 인식이 다름이 밝혀졌다. 스마트 기기의 활용
실태에서는 교사가 교수 학습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면과 학생이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활용하는 면으로 다양한 활용 실태가 나타났고, 장애 특성에 따른 활용 특성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기기 활용상의 제한 점에 대해
서는 스마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제반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은 점과 스마트 기기활용의 유의점을 고려해야하며,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관리 부족이 지적되었고,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구체적 활용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mart education and the status on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current study,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in February 2018 for 11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Based on this, discussion contents were divided into semantic unit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and smart device revealed that the rang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not only personality but also the school conditions were influential. The actual use of smart devices, there are two aspect according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The teachers use smart devices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or individual education and so on, and students use smart devices for self control study. In terms of limitations on the use of smart devices, the lack of facilities, lack of contents, and lack of information appea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