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경(Hyun-Kyung Kim) 나지연(Jiyeon 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565~5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에 고등학교 교사 551명을 대상으로 2017년 4-5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 <통
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가장 지원이 많이 필요하다고 예상하였다. <통합과학> 취지와 달리 분담하여 가르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자료의 보급이나 <통합과학> 전공 교사 양성, 과학실험 실무사의 업무 보조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학생 수와 교사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학사>, <생활과학>, <융합과학>은 개설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교원증원이나 강사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과 역량 중에서 과학적 참여와 평
생학습능력 함양이 가장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환경 및 교구가 부족하고, 교과 역량과 교육 내용 간의 관련성에 대해 교사의 이해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학교에서는 학생의 능동적 수업 참여와 과정중심의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551 high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in April and May 2017.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Many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needed the most support in and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contrast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the most common opinion was that 2-4 teachers would teach . They thou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eacher-training courses, and the supports of science laboratory assistants are needed.
They also thought it would be difficult to offer some subjects(Science History, Life Science, Convergence Science) because of the lack of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they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eachers or instructors.
They expected that it would be the most difficult to cultivat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ies’ in th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and that the lack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and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were major difficulties in improving th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They felt that current schools lack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