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Private Persuasive Spee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정(Kim Yune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적 맥락의 설득 화법에서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발전 단계에 있어서 초·중·고 학습자의 설득 표현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설득 화법 교육 내용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관계성’과 관련된 커뮤니케
이션 이론인 ‘사회 침투이론’을 적응 단계(내적 의사소통 단계), 탐색적 감정의 교환단계(타자 지향적 태도 표현의 단계), 감정의 교환 및 정착 단계(감성적 상호작용 단계)로 구분하였고, 초5·중2·고2 학습자 총 33명을 대상으로 부모님께 용돈 인상을 요
청하는 설득적 말하기 녹취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적응단계에서는 입장 표명의 양상이 자아 중심성에서 사회 맥락 고려로 확산되었고, 탐색적 감정의 교환 단계에서는 형식적 존중에서 적극적 존중 표현으로 그 양상이 심
화되었으며 감정의 교환 및 정착 단계에서는 청자의 이해를 도와줌에 있어서 주관적인 근거 보다는 객관적 자료 활용이 이루어졌다. 감정 표출은 솔직한 감정에서 복합적 감정, 의도적 감정으로 그 표출 양상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일상에서 설득 화법을 구사함에 있어서 필요하지만 잘 드러나지 않는 표현, 설득의 과정에서 관계의 친밀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 급별로 보완되어야 할 교육 내용 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suasive speech education contents by analyzing how expressions of persuas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revealed in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private persuasion discourse.
In this paper, the communication theory related to relationship , which is ‘the theory of social penetration’ was used.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s three stages, which is the orientation stage (internal communication stage), the exchange of exploratory emotion stage (stage of expressing the other-oriented attitude) and affective
exchange and stable exchange stage (emotional interaction stag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 analyzed the persuasive speech recording data of 33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king their parents to raise their pocket mon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he grade increased, the aspect of position expression in the adaptation stage spread from the ego- centricity to the consideration of the social context. In the exchange phase of the exploratory emotion, the aspect was increased from the formal respect to the positive respect expression. Objective data were used
rather than subjective reasons in helping understanding of audience. Expression of emotion showed a tendency to change from a frank feeling to a complex feeling and an intentional fe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by the school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persua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