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alectic of Establishing Identity of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정인혁(Jung, In-hyouk)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1권, 291~32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김안국>의 서사 속에서 김안국이라는 인물의 변화 동인을 살피고 김안국을 중심으로 김안국과 관계 맺는 인물들을 대상으로 정체성 확립의 문제를 논하는 것이다. 한 인물의 정체성을 논할 때 그 인물의 성격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그를 둘러싼 타자와의 관계이다. 왜냐하면 한 인물의 정체성은 여러 다른 주체와 함께 있을 때 의미 있기 때문이다. 김안국은 아버지 김숙 등과의 관계 속에서 사대부 남성으로서 가져야 할 문장 능력이 결핍된 존재로 인식된다. 이는 문자에 대한 어지럼증으로 나타나는 김안국의 육체적 수동성에 기인한다. 김안국 자신의 타자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김안국의 정체성을 불완전하게 한다. 결핍은 관계의 단절을 가져오고 관계의 단절은 김안국의 존재론적 위기를 초래한다.
이런 점에서 일견 <김안국> 이야기는 일견 ‘사위박대담’ 및 ‘배우자선택담’과 유사하다. 하지만 인물의 주체성, 인물의 갈등 관계 등에서 차별적이다.
부인 이 씨는 김안국의 비범한 능력이 발현시키고 과거에 급제한 김안국은 아버지 등으로부터 인정받게 된다. 이는 자기의 타자성을 인식했던 이 씨 부인이 김안국을 또 다른 주체로 인정하고 배려함으로 그가 자신의 타자성을 결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기 동일성과 타자성의 결합이 바로 자기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want to think about what is the power that changed Kim, An-guk. 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 identity by analyzing the . When discussing the identity of a person, as important a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is the other person surrounding hi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ecause the
identity of a person is meaningful when it is with many other different people.
Kim, An-guk was perceived by his father, uncle, and father-in-law as a person who lacks the literary talents that a man of the scholar-gentry class should possess. This is due to Kim, An-guk s physical passivity.
Kim s physical passivity appears as dizziness for the characters.
The lack leads to the breakdown of the relationship, and the break of the relationship causes Kim, An-guk s ontological crisis. However, Kim An-guk s extraordinary ability is expressed by Kim s wife. Because of
this, Kim, An-guk is recognized by his father and others. So, is like a story on the choice of a spouse and a story of poor treatment to son-in-law. But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and the conflict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Mrs. Lee, who recognized her own otherness, acknowledge his otherness and considered him as another subject. This combination of self-identity and Otherness is the dialectic of establishing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기대의 불∙부합과 관계에 따른 정체성
Ⅲ. 김안국의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
Ⅳ. 이 씨 부인의 權道와 타자의 윤리학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