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ineralogy and Genesis of Manganese Ores from the Buncheon Mine, Kore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Soo Jin Kim(金洙鎭) Byong Kook Son(孫炳國)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17권 4호, 273~2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4.08.30
국문 초록
분천 광산의 망간 광상은 선캠브리아기 율리통의 변성암류의 엽상 구조를 횡단하는 N20°E 방향의 단층면을 따라 열수 용액이 충진하여 형성된 열수 기원의 규산 망간 광석과 이의 표성 산화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산화 망간 광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산 망간 광석은 주로 파이록스만자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능망간석, 석영, 녹니석 및 황화황물(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알라반다이트, 자류철석)등이 포함되어 있다.
산화 망간 광석은 엔소타이트, 버네사이트, 토도로카이트, 망가나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록스만자이트와 능망간석의 산화과정 및 광물생성 순서는 다음과 같다.
망간 광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들은 광학적, X선적, 적외선 흡수분광학적, 열분석에 의하여 감정 연구되었다.
영문 초록
The Buncheon manganese ore deposits occur in vein along the fault of N20°E, cutting the foliation of Yulri Series. The deposits consist of primary manganese silicate ores in the deeper part and superficial manganese oxide ores near the surfac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nganese oxide ores with respect to the manganese silicate ores suggests that the manganese oxide ores are the supergene oxidation product of the manganese silicate ores.
Manganese silicate ores consist mainly of fine-to coarse-grained pyroxmangite with minor rhodochrosite, quartz, sulfides and chlorite. Manganese oxide ores are composed of supergene manganese oxides such as nsutite, birnessite, manganite and todorokite, and other associated minerals.
Paragenetic sequence of formation of the manganese minerals are as follows:
In order to elucidate the mineralogy of the manganese minerals, microscopic, X-ray, IR spectroscopic, and thermal studies were made for manganese and associated mineral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NGANESE ORE DEPOSITS
MANGANESE SILICATE ORES
MANGANESE OXIDE ORES
SUMMARY AND CONCLUSIONS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