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perception of Airline Service Students toward Job-esteem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임지은(Lim, Jieun)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3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학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존중감에 대한 주관성을 진단하고 그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직업존중감에 대한 인식분석은 개인의 주관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Q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5개의 Q 진술문으로 P 표본 41명을 대상으로 소팅 (sorting)하여 분석한 결과, 직업존중감에 대한 인식유형은 개인성장 가치형, 경험적 가치형, 즐김의 가치형, 사회적 평판 가치형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4가지 유형은 공통적으로 항공승무원이 직업으로서 가지는 긍정적인 가치기준으로 구분되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 들이 제시했던 부정적인 대우나 직업의 저평가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의 한계를 가진다. 이런 질적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unveiling perception type and subjectivity about job-esteem of flight attendant.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to look at the areas of individual subjectivity in analyzing the perception of job-esteem. This study identified four types of job-esteem with 40 Q statements and 41 P sample: Personal Growth Value Type, Empirical Value Type, Value Type of Fun, and Social reputation Value Type. The four type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positive value criteria for the flight attendant to have a job, and the scores given were very low for the negative treatment or the underestimation of job. However, despite these suggestions,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a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se qualitative studies,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be mad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 및 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