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surement of Affecting Leisure Activities on the Decreases of Psychological Burnout, Violence Inclination, and Beating in the Military Army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종구(Park, Joungkoo)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3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군 부대 장병들이 겪는 스트레스의 계급별 차이, 여가활동의 복무염증과 심리적 탈진의 감소, 폭력충동, 구타방지의 효과 등을 규명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북부지방에 위치한 육군 OO 부대의 175명의 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방식을 통해 2017년 6월 24일 부터 7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된 통계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복무기간이 짧은 신참일수록 피로도, 사고나 실수의 발생우려, 동료의 무관심과 소외감 등의 항목들에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군대 생활중 복무염증의 감소효과는 ‘e-sports 게임(인터넷)’, ‘취미활동(노래방, 음악감상, 조립(배, 탱크, 비행기 등)’, ‘체력단 련(구기종목(축구, 족구, 농구, ??구, 등) 및 헬스 활동’ 순이며, 심리적 탈진의 감소효과는 ‘취미활동(노래방, 음악감상, 조립(배, 탱크, 비행기 등)’, ‘사교(종교행사, 대화, 잡담)’, ‘체력단 련(구기종목(축구, 족구, 농구, ??구 등) 및 헬스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군대 여가활동은 장병들의 폭력충동의 감소 및 구타방지에 있어서 군 복무염증과 심리적 탈진의 방지를 통해 구타사고, 욕설 등의 군 부대의 각종 사고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즐거운 병영문화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with positive effects, such as decreases of psychological burnout, violence inclination, and beating other colleagues on solders physical activity and enjoyment in a military setting.
The stud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175 soldiers living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during March 24 through September 8, 201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ilitary stress due to tiresome, depression, and apathy in military colleagues was foun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privates correlated with their term of enlistment. The effect of reducing aversion was highest in e-sport activities (online computer games, internet), hobby activities (rock cafe) and physical training & health respectively. Hobby activities (rock cafe), followed by social activities (religious events, conversation, chatting) and fitness training & health activities (soccer, foot wear, basketball, tennis, etc.) were decreased with relieve depression, physical symptoms, and accident prevention among soldiers. It was concluded that leisure activity, by itself or in combination with psychological care, was found to be most successful at reducing battering behaviors, which were directly effective in adaption of military and existence of living
satisfaction, than in declines of both assault and obloquy in soldi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