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ulsive personality and uncommon universality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박수연(Park, Soo-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78집,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이 글을 통해 주장한 것은 사회구성주의 교육 이념의 한계를 극복할 필요성이다, 그 주장을 위한 사례를 김수영 시에 대한 학교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다. 논문의 결론은, 김수영 시의 이해가 그의 작품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기초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김수영 시의 학교 교육 상황을 살펴보니 실증이 없이 자의적 해석에 기초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실증을 통한 융합주체의 형성으로 융합교육의 시대에 참조되어야 할사항이다. 실증이란 주체 형성의 기본 요건이고, 그 주체의 형성이야말로 과학중심의 통섭을 넘어서서 융합학문을 수행하게 하는 기본 전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올바른 정립을 위해 실증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결과를 융합교육의 흐름에 맞춰 ‘실증-주체-융합’이 라는 개념적 화두로 정리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ideology of social constructivist. The case for that argument can be found in school education about Kim, Soo-young.
Our conclusion is that Kim Soo-young s understanding should be based on empirical exploration of his work. When we look at the school education in Kim Soo-young, it is often based on arbitrary interpretation without empirical evidence. This is something to be referred to in the era of convergence education. Empiricism is the basic requirement of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is a basic premise that allows the fusion science to be carried out beyond the consensus of science. Therefore, empirical evidence needs to be emphasized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 This result can be summarized in the conceptual theme of ‘demonstration - subject – convergenc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자유와 실재의 지평
3. 주체적 해석과 자의적 해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