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pproach to Freelance Careers in Cultural Industri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현은정(Eunjung Hyun)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18권 제3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문화예술영역에서 프리랜서(freelancer) 전문직이나 예술가의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의 커리어(career)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 되어 가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상당히 결여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사회학, 경영학에서 이미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네트워크 구조의 특성 및 네트워크 구조의 다양한 영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문화예술영역에서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의 커리 어의 결과가 – 특히, 후속 프로젝트 참여기회 및 예술적, 상업적 성공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 참여기회 - 창출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의 커리어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적 요인으로서 노동시장 및 관련영 역에서의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적 요인을 강조한다. 특히, 노동시장에서 니치(niche)와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연결망상에서의 브로커리지(brokerage)적 위치가, 어떤 과정을 통해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의 후속 프로젝트 참여기회 및 예술적, 상업적 성공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 참여기회를 증가시켜 주는데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은, 어떤 한 특정 조직에 장기간 귀속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이들이 매번 차기 프로젝트를 위한 기회를 모색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유사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는 다른 프리랜서 전문직이나 예술가들과 경쟁을 통해서만이 꾸준히 자신들의 커리어를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노동시장 및 관련영 역에서의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문화예술노동시장 연구자들에게 중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Freelance artists and professionals make up an increasingly large portion of the cultural workforce. Yet our understanding of how their careers progress remains under-developed. This paper argues that researchers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cultural labor market have much to learn from an extensive and still growing body of scholarly work on network structure and its multi-faceted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market outcomes. In particular, extending a structur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career processes and outcomes of freelance workers in cultural industries, this article considers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social structures of the cultural field - one that is composed of artists and professionals competing in the same niches and the other is of those collaborating on the same project connected to one other through members of multiple projects - affects important career outcomes for those workers. The fact that these people are not bounded by any single organizational jurisdiction renders their past and ongoing social relations with competitors and collaborators particularly relevant to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progress.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distinct structural antecedents of important career outcomes in cultural industries such as landing a new project work or obtaining an opportunity to be part of artistic innovation.
First, we argue that a consideration of the labor market space in terms of niche, a market segment that consists of similarly skilled artists, and understanding certain structural features of the niche is necessary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freelance artist labor market processes. Second, we argue that a consideration of network structure, one that is constituted and enacted through artists’ co-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projects, in terms of brokerage vs. cohesion can shed further light on the career processes of freelance artists and professional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On Freelance Careers
Ⅲ. Theory Development
Ⅳ. Discussion &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