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research study about the live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and experienced peer-tutoring: in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경(Lee, Mi-kyung) 김희수(Kim, Hee-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593~6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사경고자로 동료 튜터링 제도를 경험한 대학생들’의 학사경고를 받기 전 상황, 동료 튜터링 과정의 경험, 동료 튜터링 이후 다시 살아내기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목적 표집을 하였고, 학사경고를 받고 동료 튜터링 경험이 있는 대학생 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 다. 면접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개인적․ 사회적 플롯 라인에 따라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이는 아픈 엄마의 둘째 딸로 살아 내기, 대학에서 교수님에게 차별 대우를 경험하기, 휴학으로 후퇴하 기, 또 다른 교수님에게 격려 받기, 동료 튜터에게 지지 받으며 관계 망 형성하기를 경험하였다. 연숙은 둘째 딸로 서러움을 겪어내기, 무절제한 대학 신입생 시절 경험 하기, 튜터를 모델링하기, 의지를 불태우며 학습 습관 고쳐내기를 경험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를 통해서 동료 튜터링 제도가 더 많은 학사경고 자들에게 확대 실시되어, 학사경고 대학생들에게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대학생활을 자신 있고 의미 있게 해낼수 있게 되기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who
have been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which are the students’ situation before the academic probation, their experience of a peer-tutoring process, and the stories of their reliving after the peer-tutoring.
For the study, targeted sampling being us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who have experienced peer-tutoring.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of a three-dimentional space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and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along the line of the plot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shown that Yeon-ee has experienced living as the second child of the sick mother, receiving unfair treatment from her professor, retreating into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getting encouragement from another professor, forming a wide network of friends and acquaintances with the support of peer tutors.
And Yeon-suk has experienced going through sorrow as being the second child, joining a dissolute life of a school freshman, modeling herself after her tutor, changing her study habits with her strong will.
It is suggest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eer-tutoring system should be expanded and implemented for mor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so that they can achieve the academic success and also they are able to live a confident and meaningful life at colle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