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Yi, Hochul’s Yeokryeo(逆旅) and literature education -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other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정호웅(Jung, Ho Ung)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18집, 423~4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이호철의 장편 『역려』를 고등학교 『문학』 과목에서 주요한 성취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타자 이해’와 관련하여 검토한 것이다. ‘타자 이해’와 관련하여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가운데 부정적 인물에 대한 이해를 겨누는 작품은 없다. 긍정적 인물에 의한 타자 이해를 문제 삼는 작품 일색인 것이다. 이런 양상은 중등학교 문학 교육의 장에서 ‘타자 이해’가 ‘소외된 소수자로 서의 타자에 대한 이해’라는 좁은 틀에 갇혀 문학 교육이 지향하는 인간 탐구와 이해를 스스로 제약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앞세워 『역려』서사를 이끄는 세 유형의 인물 성격을 ‘타자 이해’와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철저한 현실주의자로서 이른바 부정적 인물에 해당 하는 박훈석, 파행적인 우리 근현대사가 낳은 비극성의 존재들로서 일본인과 결혼한 조선 여성과 둘 사이에 태어난 남매, 그리고 식민지 조선에서 살다가 패전 후귀국하여 일본에서 살고 있는 재일 일본인의 세 유형이다.
이 세 유형의 인물 성격에 대한 검토를 통해 다음 몇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부정적인 인물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으며, 그리고 자아성찰에 나아갈 수도 있다. 2. 역사가 낳은 비극성의 존재들을 통해 사회역사적 폭력에 희생된 타자들에 대한 이해에 나아갈 수 있다. 3. 재일 일본인을 통해 국가, 민족, 이념 등과 관련된 이분법을 넘어 타자 이해에 나아갈 수 있다.
‘타자 이해’를 ‘소외된 소수자에 대한 이해’로 한정하지 말고, 부정적 인물을 포함한 인간 일반에 대한 이해로 인식하고자 하는 열린 태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우리 논의의 최종 결론이다.
영문 초록
With relation to ‘understanding of the other’ in literature education, we searched Yi, Hochul’s novel Yeokryeo(逆旅, 1978). Especially we focused three peculiar types of characters in Yeokryeo(逆旅). (1) A character who is realist and unethical. He is so called negative character. (2) A character who is the tragic being suffering under the violence of history. (3) A character who is so called ‘在日 日本人’, zainichi japanese.
Through the search of these 3types, we can know as follows. (1) With a negative character, we can widen understanding of the other and can go on self-examination. (2) With a tragic being suffering under the violence of history, we can understand the other who is trampled sociohistorically. (3) With a zainichi japanese, we can understand the other’s total truth which exist over dichotomy.
With relation to ‘understanding of the other’ in literatur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open attitute on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고등학교 『문학』과목의 성취 기준과 ‘타자 이해’
3. 『역려』와 타자 이해
1) 부정적 인물과 타자 이해-현실주의자의 여러 측면
2) 역사의 비극성과 타자 이해-일본인과 결혼한 조선 여성 그리고 한일 혼혈인 3) 이분법의 해체와 타자 이해-재일 일본인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