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 Middle School Master Teacher’s Narrative about the Teaching Compe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수(Kim Tae S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489~5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수석교사의 생애사적 교직경험으로부터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주는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업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 중등수석교사 한 명의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연구문제는 ‘수업전문성을 갖춘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와 ‘그 경험이 수업전문성과 관련해서 주는 의미가 무엇인가?’이다. 연구결과, 수업전문성을 갖춘 교사의 경험에는 ‘Learning by Doing’,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가까운 데서 멘토 찾기’, ‘롤 모델 되기’, ‘발전적으로 되기 위해서 만나기’, ‘아는 것 나누기’ 가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것은 ‘만 남’과 ‘나눔’이었다. ‘만남’과 ‘나눔’을 통해 수업전문성을 신장시켰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수업성찰 기회제공’, ‘교사 멘토-멘티제’, ‘온․오프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middle school master teachers’ life historical teaching experiences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For this purpose, it researched one of the middle school master teacher’s narrative.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experiences of a teacher with teaching competence?” and “what does that experience mean about his/her teaching competence?”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a teacher with teaching competence includes “learning by doing,” “making active use of the situation,” “seeking out mentors nearby,” “being a role model,” “meet to improve,” and “sharing what s/he knows.”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are “meeting” and
“sharing.” That is, they have improved their teaching competence through “meeting”
and “shar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eaching,” “mentorship for teachers,” and “vitalization of the offline teacher community.
목차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Ⅱ. 연구 방법
Ⅲ. 수업전문성과 관련된 여섯 가지 경험 이야기하기
Ⅳ. 수업전문성과 관련된 경험의 의미: ‘만남’과 ‘나눔’
Ⅴ. 이야기를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