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Structures Preventing Teachers from Supporting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in Science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다연(Kang Da Yeon) 마틴 산야(Martin Sonya 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563~5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에 있어, 교사의 행위성을 증대하거나 제한하는 조직 구조를 사회문화 이론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을 지닌 학생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탐구 및 언어기반 교수 방법에 대한 자기효능감(K-TASILT)’ 설문을 이용하여 교사 336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을 기반으로 교사 4명에 대하여 반구조화 면담을 수행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을 실현하는 데에 있어 교사가 겪는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한국 전역의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혼합연구의 일환으로 1년에 걸쳐 수집되었다. 그 결과,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학업 및 사회적 학습 경험에 언어 및 문화적 차이 등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교사들은 학교 구성원의 다양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및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학생 들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언어기반 교수 방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낮은 교수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학부모의 참여에 대한 기대가 낮았으며 적절한 교사연수를 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과 정책 제정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적절한 내적 및 외적 자원에 대한 교사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을 위한 과학교육 환경의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sociocultural theory to describe organizational structures limiting or affording Korean teachers’ agency to effectively support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to learn science. We draw from teachers’ responses (N = 336) to a previously developed and validated questionnaire called Korean Teachers’ Attitudes and Self-Efficacy for Inquiry and Language-based Teaching (K-TASILT) and excerpts from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N = 4) to highlight structural factors affecting teachers’ ability to create inclus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Data was collected for one-year as part of a large mixed-methods study involv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schools across Korea. Several factors, including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affect on CLD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learning experiences. Although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diversity and positive beliefs about CLD students, they have limited teaching efficacy for using language-based teaching strategies in science classrooms. They also had limited expectations for parental involvement and lacked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s. Reforms in policy and teacher education are needed to help teachers to access and appropriate resources (internal and external)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for CLD studen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s
Ⅲ. Methodological Frameworks
Ⅳ. Findings and Discussion
Ⅴ.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