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on Postpartum Blues -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Min Hy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3, 47~5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아애착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이 두변수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모아애착이 89.78±13.74 점, 산후우울이 48.01±11.85 점, 자아존중감이 30.19±4.7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아애착과 산후 우울 사이에는 상관크기가 r=-0.325로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아애착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Sobel test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478, p<.001). 분만 후 산후우울을 겪는 산모들은 모아애착 관계형성에 방해가 되므로, 조기에 산후우울을 사정하고 적절한 지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산모의 산후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기 때문에, 산전관리 기간부터 산모의 자아존중감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ternal attachment on postpartum blues with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bjects’ responses estimated the level of mother-child attachment to be 89.78±13.74 points, postpartum blues to be 48.01±11.85 points, and self-respect to be 30.19±4.71 point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postpartum blues was found to be -0.325, indicating a medium-level negative correlation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99% confidence level. Third, the Sobel test reveal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elf-respect in the effects of mother-child attachment on Postpartum Blues (z=-2.478, p<.001). As mothers experiencing postpartum blues tend to have difficulty in forming the mother-child attachment relationship, they must be diagnosed and provided with support as early as possibl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