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isk Factors for Consecutive Exotropia and Hyperopic Changes after Bilateral Medial Rectus Reces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기웅(Ki Woong Lee) 백혜정(Hae Jung Pai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3, 276~28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Purpose: To define risk factors for and to analyze changes in hyperopic refractive error during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exotropia (XT) after bilateral medial rectus (BMR) recession to treat infantile esotrop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50 patients with infantile esotropia who underwent BMR recession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0. All were <10 years of age and underwent ≥36 months of follow-up. We recorded age at operation, the pre-operative strabismus angle, the extent of medial rectus recession, strabismus status, pre- and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re-fractive errors of both eyes, any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any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 an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status.
Results: Consecutive XT developed in 18 (36%) patients. The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 was +0.90 ± 0.79 D in the consec-utive XT group and +1.94 ± 1.48 D in the surgical success (SS) group (p = 0.019). The extent of hyperopic decreas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onsecutive XT group than the SS group (consecutive XT group: 1.59 ± 1.38 D, SS group: 2.86 ± 1.97 D) at 3 years of post-operative follow-up (p = 0.008). Postoperative IOOA was detected in 10 (70.5%) patients in the consecutive XT group and 3 (29.55%) in the SS group (p = 0.002).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overcorrection or DVD was apparent.
Conclusions: The presence of hyperopia (>+2.0 D) prior to BMR recession and a marked fall in the extent of hyperopia (−1.0 D/year) after rec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consecutive XT. Thorough follow-up is necessary when IOOA de-velops after BMR recession.
영문 초록
목적: 영아내사시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한 후에 발생한 속발외사시의 위험인자와 원시 굴절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동일 술자에게 영아내사시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받은 후 최소 술 후 3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10세 이하 소아사시 환자 5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사시각이 10 prism diopter (PD) 이상의 외편위를 보이는 속발외사시군(18명)과 10PD 이내의 외편위 또는 내편위를 유지하는 수술성공군(26명)의 수술 시 나이, 수술 전 사시각, 조절마비검사 구면렌즈대응치의 원시굴절률, 수술량, 수술 직후 과교정 여부, 수술 전후의 동반사시 여부와 수술 후 시간경과에 따른 원시굴절률의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추적 관찰기간 49.32 ± 17.16개월 동안 영아내사시로 양안 내직근후전술을 시행받은 50명의 환자 중 수술성공군은 26명(52%), 속발외사시군은 18명(36%), 잔여내사시군은 6명(12%)이었다. 잔여 내사시로 2차 교정술을 받은 6명을 제외한 속발외사시 군과 수술성공군을 비교한 결과 술 전 평균 원시굴절률은 각각 +0.90 ± 0.79 diopter (D), +1.94 ± 1.48D로 속발외사시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술 전 원시굴절률을 보였다( p =0.019). 술 전과 최종 경과관찰 시의 원시굴절률의 변화는 수술성공군에서 3년 간 -1.59 ± 1.38D, 속발외사시군에서 3년간 -2.86 ± 1.97D로 속발외사시군의 원시굴절률의 감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 p =0.008). 술 후 하사근 기능항진은 수술성공군에서 29.5% (26명 중 3명), 속발외사시군에서는 70.5% (18명 중 10명)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속발외사시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p =0.002). 술 후 해리수직편위는 수술성공군에서 한 명도 관찰되지 않았고(26명 중 0명), 속발외사시군에서는 11.11% (18명 중 2명)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0.162).
결론: 영아내사시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계획하고 시행함에 있어 술 전 원시굴절률이 +2.0D 이상으로 크거나 술 후 하사근 기능항 진증이 동반된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원시굴절률의 감량이 연간 1.0D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속발외사시에 대한 주의 깊은 경과 관찰 이 필요하다.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