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Using Five Differ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윤곤(Youn Gon Lee) 황영훈(Young Hoon 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3, 261~26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circum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es as measured using five differ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devices.
Methods: RNFL thickness was measured in 32 healthy eyes of 32 subjects using a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 Spectralis OCT (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 Topcon DRI OCT (Topcon, Tokyo, Japan), RS-3000 Advance OCT (NIDEK, Aichi, Japan), and RTVue-100 (Optovue, Fremont, CA, USA). Global and quadrant (superior, nasal, inferior, and temporal) RNFL thicknesse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agree-ment among devices was determined using Bland-Altman analyses.
Results: The global RNFL thickness was greatest when measured using the Topcon DRI OCT, with a mean value of 107.5 μm. The mean global RNFL thicknesses measured using the RTVue-100, RS-3000 Advance OCT, and Spectralis OCT were 104.9 ± 8.4, 104.4 ± 9.4, 102.5 ± 8.9 μm, respectively. The Cirrus HD-OCT presented the thinnest RNFL measurement, with a mean value of 97.7 ± 8.7 μm (p < 0.01). A similar pattern was found for the quadrant RNFL thicknesses (p < 0.01). Differences in the global RNFL thicknesses among the devices ranged from 0.5 to 9.9 μm. The limits of agreement of the global RNFL thicknesses evaluated by Bland-Altman analyses ranged from 6.8 to 19.6 μm.
Conclusions: RNFL thicknesses measured using five different OCT devices were not interchangeable and there was a wide limit of agreement. When interpreting RNFL thickness values determined by different devices, caution is advised.
영문 초록
목적: 다섯 종류의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정상인 32명의 32안을 대상으로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 Spectralis OCT (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 Topcon DRI OCT (Topcon Inc., Tokyo, Japan), RS-3000 Advance OCT (NIDEK, Aichi, Japan), RTVue-100 (Optovue Inc., Fremont, CA, USA)을 이용하여 시신경유두주위 전체 평균 및 사분면(위쪽, 코쪽, 아래쪽, 귀쪽)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 장비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비교하고, Bland-Altman 분석을 통해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Topcon DRI OCT로 측정한 값이 평균 107.5 ± 9.0 μm로 가장 컸고, RTVue-100으로 측정한 값이 104.9 ± 8.4 μm, RS-3000 Advance OCT로 측정한 값이 104.4 ± 9.4 μm, Spectralis OCT로 측정한 값이 102.5 ± 8.9 μm였 고, Cirrus HD-OCT로 측정한 값이 97.7 ± 8.7 μm로 가장 작았다( p <0.01). 사분면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도 전체 평균 두께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p <0.01). 검사 장비 간 전체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값의 차이는 0.5에서 9.9 μm였고, Bland-Altman 분석을 통해 산출한 장비 간 전체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일치도 범위(limit of agreement)는 6.8에서 19.6 μm로 나타났다.
결론: 다섯 종류의 빛간섭단층촬영 장비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서로 다른 값을 보였고 일치도 범위도 넓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장비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값을 분석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다.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