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 in Axial Length in Highly Myopic Adults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재정(Jae Jung Lee) 이인호(In Ho Lee) 안민원(Min Won Ahn) 박강윤(Kang Yeun Pak) 박성후(Sung Who Park) 변익수(Ik Soo Byon) 이지은(Ji Eu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3, 246~25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xial length (AL) in highly myopic adults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AL.
Methods: Medical records of highly myopic adults (≥ -6 diopters [D] or AL ≥ 26.0 mm)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L of each patient was measured using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at least three times over 2 years, and the yearly change in AL was calculated. Associations between age, AL, choroidal thickness, and the rate of AL change were evalua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otal, 24 patients (4 males, 20 females) and 44 ey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was 54.9 ± 10.4 years, the initial AL was 29.335 ± 2.006 mm, the choroidal thickness was 72.7 ± 41.80 µm,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was -11.86 ± 3.85 D (-5.1~-22.0 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2 ± 0.5 years. A significant increase in AL of ≥0.05 mm was ob-served in 38 eyes (86.4%) at 2 years. The mean A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29.409 ± 2.007 mm (p < 0.001), at 1 year and to 29.476 ± 2.028 mm (p < 0.001) at 2 years. The average rate of AL change was 0.071 ± 0.049 mm (-0.01~0.19 mm) per year.
None of the included factors showed an association with the rate of AL chang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In this study, an increase in AL in highly myopic adults was more frequent than in previous reports using A-scan. Periodic measurements are therefore recommend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complications.
영문 초록
목적: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하여 성인 고도근시 환자에서 안축장의 변화를 알아보고 안축장의 증가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만 30세 이상의 성인 고도근시(근시 ≥ -6D 또는 안축장 ≥ 26.0 mm)로 2년 이상 경과관찰 중 3회 이상 부분결합간섭계로 안축장 측정이 이루어졌던 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축장 변화속도는 일년당 안축장 변화로 계산하였으며,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나이, 안축장, 맥락막 두께와 안축장 증가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24명(남성 4명, 여성 20명) 44안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54.9 ± 10.4세였으며, 초기 안축장은 29.335 ± 2.006 mm, 맥락막 두께는 72.7 ± 41.80 μm, 초기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11.86 ± 3.85D (-5.1~-22.0D)였다. 평균 경과관찰 기간 은 2.2 ± 0.5년이었다. 2년째 대상안 중 38안(86.4%)에서 0.05 mm 이상의 유의한 안축장의 증가가 있었다. 평균 안축장은 1년에 29.409 ± 2.007 mm ( p <0.001), 2년에 29.476 ± 2.028 mm ( p <0.001)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안축장 증가속도 평균은 0.071 ± 0.049 mm/year (-0.01~0.19 mm)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안축장 증가의 속도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없었다.
결론: 성인 고도근시 환자에서 안축장의 증가는 초음파 A-scan을 이용한 이전 보고에 비하여 흔하게 발생하였으며 합병증의 발생에 관한 지속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