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rrhythmia 환자의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에서 ECG-triggered FLEX Scan Mode 사용 시 선량과 영상의 질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Study of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of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Using ECG-triggered FLEX Scan Mode for Patients with Arrhythmia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유흥준(Heung Joon Yoo) 김민정(Min Jung Kim) 박정훈(Jung Hoo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5권 제1호, 145~15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DSCT를 이용한 CCTA 검사에서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와 Adaptive Cardio Sequence 기능을 갖고 있는 ECG-triggered FLEX scan mode를 통해 검사하였을 경우의 선량과 영상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2년 2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CCTA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에서 심전도 동조 시 부정맥을 보이는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3명은 ECG-triggered FLEX scan mode를 사용 하였고, 30명은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mode별 유효 선량과 영상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유효 선량의 평균값은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에서는 5.67mSv, ECG-triggered FLEX scan mode에서는 3.55mSv 였다. 평균적으로, ECG-triggered FLEX scan mode에서 선량이 37% 더 낮았다(P=0.002). ECG-triggered FLEX scan mode 그룹에서 영상의 질이 높이 평가 되었으며, 환자의 부정맥 패턴에 따라서는 심방세동에서 만큼은 ECG-triggered FLEX scan mode보다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에서 영상의 질이 더 높게 평가 되었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부정맥이 있는 환자의 CCTA 검사에서 advanced arrhythmia re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ECG-triggered FLEX scan mode로 검사하였을 경우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로 검사 했을 때보다 피폭선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도 영상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determine clinical usefulness of ECG-triggered FLEX scan mode for patients with irregular heart rhythm in CCTA by comparing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with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
Materials and methods : We selected 63 patients who showed arrhythmia in ECG monitoring in CCT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2. We divided these patients into two groups and performed CCTA using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n=33) and ECG-triggered FLEX scan mode(n=30). Then, we compared effective dose and image quality between two groups.
Results : In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 mean value of effective dose was 5.67 mSv and in ECG-triggered FLEX mode, 3.55 mSv, respectively. On average, radiation dose in ECG-triggered FLEX scan mode was 37% lower(P=0.02). Subjective score of image quality was higher in ECG-triggered FLEX scan mode groups except atrial fibrillation cas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In case of performing CCTA for patients having arrhythmia, radiation dose in ECGtriggered FLEX scan mode with advanced arrhythmia rejection algorhythm is 37% lower than that in retrospective ECG-gated helical scan mode without deteriorating image qual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