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enosine Stress Dual Energy Cardiac Perfusion CT에서 좌심실 심근 조영을 위한 Scan Delay Time Parameter의 비교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optimum Scan Delay Time Parameter change for the left ventricular myocardial contrast from Adenosine Stress Dual Energy Cardiac Perfusion CT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김상건(Sang Gun Kim) 이상현(Sang Hyeon Lee) 김도윤(Do yun Kim) 김순배(Sun b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5권 제1호, 37~4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목적
Dual energy를 이용한 adenosine stress cardiac perfusion CT(SP-DECT)검사에서 조영제 주입 후 ascending aorta에 bolus tracking Technique를 위한 ROI를 설정 후 8초 delay scan된 영상과 10초 delay scan된 영상의 좌심실 심근의 Hounsfield unit(HU)값을 비교하여 최적의 좌심실 심근 조영을 위한 scan delay time parameter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2008년 7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SP-DECT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Perfusion Defect(PD)가 없는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ascending aorta에 bolus tracking Technique을 위한 ROI를 설정 후 검사시작 HU값 120을 기준으로 8초 delay scan된 환자 24명과 10초 delay scan된 환자 24명의 좌심실 이미지를 5 mm slice thickness Short Axis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밑으로부터 ‘apex’, ‘body’, ‘base’로 구역을 나눈 후 총 24개의 동일한 크기의 ROI를 설정하고 HU값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그리고 평균을 독립표본 검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좌심실 심근의 SA image 중 ‘apex’, ‘body’, ‘base’에서 8초 후와 10초 후 HU값의 평균농도는 각각 124.63과 142.6, 127.79와 148.97, 129.05와 146.89로 측정되었으며, p value는 각각 0.001, 0.001, 0.011로 측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apex’, ‘body’, ‘base’의 HU값의 평균을 SPSS(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검정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p value가 0.05 이하로 나타나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SP-DECT 검사에서는 8초 delay scan 보다 10초 delay scan을 하였을 때 perfusion defect를 관찰하기 위한 최적의 좌심실 조영상을 얻는데 있어 더욱 적합한 검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Ⅰ. Purpose
The coronary arteries myocardium perfusion CT image through the left ventricular myocardial contrast is the new exam way to measure myocardial contrast distribution using CT. We would like to compare the best scan delay time parameter for the left ventricular myocardial contrast between 8 seconds and 10 seconds scanning time when the bolus tracking sets up to ascending aorta after injecting contrast medium at the exam of the adenosine stress cardiac perfusion CT (SP-DECT) using dual energy.
Ⅱ. Meterial and Methods
The subject of study includes 48 out-patients without Perfusion Defect (PD) that have been put into SP-DECT examination from July 2008 through July 2012. As for method, bolus tracking was set to ascending aorta, and images of the left ventricle of 24 patients scanned 8 seconds later, and of 24 patients scanned 10 seconds later were reconstructed into 5 mm slice thickness Short-Axis MPR and then divided into “apex”, “body”, “base” from bottom up, to set, measure, and average out a total of 24 identical ROI. The average was then tested for independent samples to compare and evaluate.
Ⅲ. Result
Among the SA axis MPR imaged of myocardium of the left ventricle, “body’s”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8 seconds group and the 10 seconds group were each 127.79 and 148.97 respectively with the p-value of 0.001. At “base”, 129.05 and 146.89 were measured with the p-value of 0.011, and at “apex”, 124.63 and 142.6 were measured with the p-value of 0.001.
Ⅳ.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that in SP-DECT examination utilizing dual energy, scanning 10 seconds later instead of 8 seconds later after setting bolus tracking to ascending aorta, confirms to be a better testing method of visual inspection of the left ventricl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