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exploratory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nul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상보(Sang Bo Sh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3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일 시각에 의한 편협한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에 의한 균 형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 다. 구체적으로 영 교육과정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영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영 교육과정의 내용과 영 역을 탐색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영 교육과정을 어떻게 인 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영 교육과정은 삶의 선택 기회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학교교육과정에서 거의 다루어 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영 교육과정의 이론적 검토 결과 영 교육과정의 영역은 교육과정 개발, 시대 사회적 배경, 교수관․학습관, 평가, 이데올로기 등 5가지로 분 류된다. 이러한 영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올바른 인식은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균형화된 교육과정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basis for developing balanced school curriculum from multiple points of view. Specifically, the appearance of null curriculum in the official curriculum and the teacher\ s recognition about null curriculum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null curriculum has been studied and a questionnaire has been given on the basis of the background in order to analyz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null curriculum. Unfortunately, the null curriculum has not been seriously considered in the area of school curriculum although its contents and areas can provide students better opportunities for better life from balanced education. The null curriculum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such curriculum development, historical/social background, teaching philosophy, evaluation, and ideology. The teachers\ right recognition of null curriculum is crucial for well-balanced curriculum developments.
목차
I. 서론
Ⅱ. 영 교육과정의 영역; 발생의 맥락
Ⅲ. 연구절차 및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