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a Criticism of Pleasant Life lesson as Integrated Text in the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한숙(Han sook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3호, 207~2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수업을 참관하고 그 수업 내용을 질적으로 비평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학교 수업의 분석은 대부분 수업활동에 대한 범주나 틀 을 사전에 인위적으로 설정하여 이 틀을 사용한 수량화 작업을 통한 객관적 자료 수집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연구는 전통적으로 중요시해 온 수업 의 항목들에 주목하게 하고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수업의 맥락에 대해서는 전혀 관 심을 가지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수업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고, 교사를 기능인이 아닌 예술가로 보면서 수업의 역동성, 맥락성에 초점을 두어 즐거운 생활 2학년 1학기 ‘4. 꽃으로 꾸미는 세상’ 수업을 참관하고, 학생들과 교사 를 인터뷰하고, 수업 내용을 기술, 해석하는 방법으로 비평을 시도하였다. 수업촬영 을 통해 모든 수업 내용을 전사하였고 이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키워드를 찾고 주제 를 잡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수업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통합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즐거운 생활이라는 교과의 특성에 부합되지 않는 수업을 이끌어 가 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은 수없이 많이 바뀌었으나 현장 수업은 정태적 측면에 머물고 있음을 발견하고 현장 수업에 대한 비평을 통하여 이러한 정 보를 공유함으로서 문제 인식을 같이하고 학교 수업 개선의 공감대를 형성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concern about instruction observation and qualitative the hermeneutic for action research are increasing. Analyzing instruction by questionnaire or scale traditionally has problem that all instructions are standardization and uniformity. There was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poverty of criticism around instruction too.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and utility of an instruction criticism by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Qualitative study although it gives us a very fresh viewpoi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Pleasant Life instruction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observed and criticized the Pleasant Life lesson in the world that are made with flower . The lesson is about the making the flowers and animals which was open to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others. I focused on the teacher s behavior and practice rather than students lesson experiences.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 teacher executed the lesson in keeping tradition scale but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text. The lesson of the Pleasant Life was not pleasant to the students because not to make but to assemble the flowers. The teacher prepared materials for making flowers by making half-finished goods for shortening lesson times. I found that teacher forgot the essence of integrated text lesson. I suggested that the important things in lesson is to turn up the nature of the text characteristics. I pointed out that criticism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approach was to executed more for understanding lesson that are fitted subject characteristics. The criticism of lesson on integrated subject has potential to change the topography of discourse on lesson of integrated subject. It notices the communication system of lesson, and highlights the meanings of teachers, students and text etc..
목차
I. 통합교과 수업 비평을 위하여
II. 수업비평의 의미와 가치
III. 즐거운 생활 수업비평의 실제: ‘만드는 꽃’과 ‘조립하는 꽃
IV. 이 글을 마치면서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