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ctual State of Cyber Class Management and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화(Eun Hwa Kim) 송의성(Ui Sung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3호, 91~1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설문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이버학급 운영 및 인식 실태를 파 악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교사집단을 사이버학급 운영경험이 있는 교사집단과 운영경험이 없는 교사집단으 로 나누었다. 연구 범위는 교사의 사이버학급 운영, 관심 및 인식, 연수, 개선의 영 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에 대해 두 교사집단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 이버학급에 대한 관심 및 인식, 연수 영역에서 운영경험이 있는 교사집단과 운영경 험이 없는 교사집단의 인식 차가 크며 운영경험이 없는 교사집단에 대한 지원 및 향후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사이버학급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업무증가에 대한 부담감 해소와 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ctual state on the management and recognition for cyber cla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riv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rom the actual state. Based on questionnaire research, present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irst one is a teacher group which have operated cyber classes and second one is a teacher group which have not operated cyber classes at all. They were investigated on a viewpoint of management, interest, recognition, training, and the plan of revitalization on cyber class. The analysis results of questionnaire research show that there are big recognition differences from a viewpoint of interest, recognition, and training areas on cyber class in the two groups and second group needs appropriate support and future research.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s that all of two groups require a relief from work pressure and an offer of various training methods for improving cyber class management power.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해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