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of Healthmeaning and Education Direction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진균(Shin Jin Kyun) 최관용(Choi Kwan Y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1호, 181~2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정 내용영역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의 5개 ‘신체활동’ 가치에서 가장기본이 되는 영역인 ‘건강’의 의미와 교육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건강’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장 교원들의 실행 상황 을 면담자료를 통해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이나 교육과정에서의 ‘건강’의 개념은 다차원적이고 전인적인 의미 를 나타내고 있으나, 체육수업에서의 건강개념은 다차원적인 측면보다는 신체적 측 면에 초점을 둔 건강인식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었다. 문서상 내용은 ‘체력․보건․ 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현장의 ‘건강’영역 교육은 주로 ‘체력육성’ 또는 ‘놀이’를 통하거나 우천 시 간헐적인 ‘보건’ 교실수업, ‘생활지도’ 대체 등 비체계적이며 연관 성이 없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체육교육과정에서의 ‘건강’개념은 ‘전인적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목적을 위해 교육과정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다차원적인 ‘건강’ 관점으로의 인식전환이 요구되며, 교육 방향은 ‘체력․보건․안전’내용이 포괄되고 통합되며, 인지적․정의적․심동 적인 측면이 하나로 어우러진 ‘전인적 건강’을 추구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ealth meaning and Education Direction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ications in Physical Education, to present First, look at the meaning of the various health. Second, the teachers discussions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health education. Analysis, the concept of health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the physical side of health awareness had a one-dimensional. In addition, health education, primarily through physical training or games or health information when it is raining in the classroom, including guidance to replace the occasional unsystematic and health education were conducted. Physical Education healthy areas of holistic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quality of life in order to Health is required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health in a holistic perspective and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a holistic development, a holistic system of knowledge, dialogue community, and spiritual direction of the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체육교육과정에서의 건강의 의미와 내용
Ⅳ. 체육과 ‘건강’영역 교육의 실행과정
Ⅴ. 체육교육과정의 ‘건강’ 개념 모색
Ⅵ.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