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s of competence-based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해수(Hae Soo Kweon) 김민성(Min Seong Kim) 강영신(Young Shi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1호, 79~11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기반의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 교 수업에 적용해 본 후 참여 학생을 중심으로 학습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H군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 활동 수업 시간에 실시되었으며, 15주간 매주 2시간씩 총 30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직후 참가학생 17명을 선발하여 포커스 인터뷰 방식으 로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1개의 구성요소와 77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 었다. 참여 학생들의 경험의 본질은 ‘자발적으로 역할과 책임을 맡음’ , ‘생각하는 힘 이 자람’ , ‘수업 환경이 주는 영향력을 인식함’ , ‘실질적인 도움을 받음’ , ‘서로에게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가 됨’ , ‘수업에서 배운 것을 다른 곳에 활용함’ , ‘수업에 참 여하는 즐거움’ , ‘존중과 수용을 통한 자신감 증가’ 등 8개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프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변화과정은 학생들의 핵심역량이 발휘되고 개발되는 과정과도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는 세 가지 핵심역량 의 요소를 포함한 활동 구조를 매 수업시간 반복하여 실행한 것과 우호적이고 개방 적인 학습 환경으로서 ‘학습 공동체’를 촉진하였던 것과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재량활동의 수업 내용과 수업 진행 원리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으로 제시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a teaching model based on three key competencies cultivates and strengthens the competencies for adolescents in a school setting. The sample was comprised of 60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program which was designed specifically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and consist of 15 two-hour sessions. After they completed the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creative discreationary activities, 17 students were invited to focus groups and interviewed to elaborate their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by Giorgi 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77 meaning units, 21 themes, and 8 categories. In detail, the students reported to have taken a role or responsibility voluntarily , resulted in increased thinking ability ,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classroom environment , acquired practical skills for daily life issues , helped each other grow in learning , applied the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to diverse life settings, had enjoyed the class activities , and acquired self-esteem through respect and acceptance .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positive changing experiences were highly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The positiv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resulted from the given structure for the classroom activities to facilitate the competencies in a repeated manner and the formation of a supportive and inclusive learning community .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light of the principles of creative discreationary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창의적 재량활동 수업 프로그램 개발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