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Two-Tier MIRT Observed-Score Equating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강혜진(Hyejin Kang) 이규민(Guemin Lee) 강상진(Sang-Jin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1권 제1호, 33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ai(2010)가 소개한 Two-Tier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하여 관찰점수 동등화를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모의실험연구를 통해 탐색하였다. Two-Tier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은 주요 차원(primary dimension)과 세부 차원 (specific dimension)이라는 두 가지 능력이 피험자의 문항 반응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다. 하나의 주요 차원을 고려하는 Bi-factor 모형과 달리 Two-Tier 모형은 여러 주요 차원이 영향을 줄 수 있고, 주요 차원 간의 상관을 허용한다. Two-Tier 다차원 문항반응모형 관찰점수 동등화는 Lord와 Wingersky(1984) 알고리즘을 확장한 Cai(2015)의 방법을 이용하여 두 검사형의 주변 관찰점수 분포를 생성하고 동백분위 동등화 방법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Two-Tier 모형과 2모수 일차원 문항반응모형의 동등화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Two-Tier 모형이 모의실험연구에 사용된 문항 모수에 기반을 둔 동등화 결과에 더 근접한 결과를 산출하였고, 더 작은 동등화 오차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두 모형의 동등화 결과의 차이는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었을 때 결과 해석의 오류를 발생시킬 만큼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pecified the procedure of observed-score equating under a Two-Tier MIRT framework and evaluated its applicability for equating complex reading comprehension tests containing multiple factors. Two-Tier MIRT model permits more than two primary dimensions and correlations among them. To implement IRT observed score equating, the marginal number-correct score distributions for both forms were formulated under Two-Tier MIRT framework using Cai(2015)’s algorithm. The Two-Tier MIRT model produced more similar equating relationships to the baselines than did the 2PL unidimensional IRT model, and yielded smaller equating error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quating results from the two models might not be practically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