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Multilevel Contextual and Growth Models i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s for Value Added School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민호(Min-Ho Lee) 강상진(Sang-Jin Kang) 이규민(Guem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1권 제1호, 255~2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 부가가치모형인 다층맥락모형(Multilevel Contextual Model; CM)과 다층성장모형 (Multilevel Growth Model; GM)의 학교 부가가치 모수 추정의 정확성을 비교한 모의실험 연구이다. 모의 실험의 상황을 실제 학교평가 상황과 유사하도록, 고정효과와 무선효과 모수값의 선정단계에서 전국 표본인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 2005)』자료를 참조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네 가지 부가가치 모형을 비교하였다: 다층맥락 기초모형(Unconditional Multilevel Contextual Model), 다층맥락 연구모형 (Conditional Multilevel Contextual Model), 다층성장 기초모형(Unconditional Multilevel Growth Model), 다층성장 연구모형(Conditional Multilevel Growth Model)이다. 또한 모추 추정의 정확성 평가 준거로 부가가치 모수 추정량의 양호도, 부가가치 모수와의 유사성, 그리고 등급 분류의 정확성을 활용하였다. 특히, 다층맥락모형과 다층성장모형의 차별적 요소인 자료의 반복측정횟수와 모형의 구조적 차이 중 어느 부분이 부가가치 모수 추정의 정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다층성장모형은 3시점과 6시점 모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층성장모형이 다층맥락모형보다 부가가치 모수 추정에서 높은 정확성을 보이며, 두 모형의 구조적 차이가 모수 추정의 정확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형 간 부가가치 모수 추정의 정확성은 세 가지 평가준거에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imulation study compared Multilevel Contextual Models(CM) and Multilevel Growth Models(GM) i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s for value-added school effects. This study compared four models specifically: which are Unconditional Multilevel Contextual Model, Conditional Multilevel Contextual Model, Unconditional Multilevel Growth Model, and Conditional Multilevel Growth Model. The study examined each of the four models by using the goodness of estimator, the similarity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ith predetermined parameter valu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the GM with three and six repeated measures along with CM in order to find out which was the more influential factors 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s between the number of repeated measures and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model spec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GM is more accurate than CM in the estimates for value added school effects, and which is consistent both in the unconditional and in the conditional model.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model specification was more influential factor 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s for value added school effects than the number of repeated measures. Moreover, the trends of the accuracy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s from the models under comparison were consistent across the three criter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