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Multidimensional Student Engagement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박민애(Minae Park) 김난옥(Nanok Kim) 이빛나(Bitna Lee) 손원숙(Wonsook Soh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1권 제1호, 201~2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국문 초록
적극적인 수업참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수업 및 학습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수업참여는 단순히 수업에 출석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행동, 정서, 인지적 차원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참여를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 등 다차원으로 정의하고 수업참여 하위요인과 학업성취와의 종단적 상호관계와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012-2014년(중3-고2) 두 시점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참여 하위요인인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는 학업성취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또한 수업참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는 상호 간 촉진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참여 하위요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는 서로 유의하여 세 하위요인 간의 상보적 인과관계가 파악되었다. 특히, 인지와 행동적 참여 간 상호효과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정서적 참여는 상대적 효과크기가 작았으며 교과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수업참여 각 하위요인의 상대적 안정성은 중간 수준이었고, 잠재평균분석 결과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은 행동적 참여가 낮고 인지적 참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 및 제언을 추가하였다.
영문 초록
Student eng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student achievemen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esent study, student engagement is defined as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nd their stability across two years from 9 th to 11 th grades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ier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later achievement. Also, achieve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re factors that would promote reciprocal development. Second, we found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Especially,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were the largest. The effect size of emotional engagement was relatively small and inconsistent across subjects. Third, the relative st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was found to be moderate. According to the latent mean analyses where 9 th grade was used as a reference group, 11 th graders showed lower mean values in behavioral engagement but higher ones in cognitive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