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character cultivation education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Subject Charact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용성(Min Yong-seong) 최화숙(Choi Hwa-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6호, 829~8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성교육 내용 분석틀을 설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요소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인
성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의 목표는 인성 역량 함양에 두었으며, 내용구성의 인성 역량 요소로 지성, 도덕성, 시민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의 인
성 역량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교과안에서 융합되어 실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문서 자체의 큰 변화를 두기 보다는 기존의 틀을 유지하면서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을 크게 확대하는 운영상의 구체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 사회, 국가적 차원의 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지원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
러한 연구 결과는 인성교육을 구성하는 내용 구인을 탐색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고,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by each subjec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set up an analysis framework for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and analyzed the content factors of character education by each subject and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urs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cultivating humanity capacity and extracted intelligence,
morality, and citizenship as humanity competence elements of content composition.
These proposed three personality competencies should not be separated but be fused within the curriculum. Second, rather than making a big change in the curriculum document itsel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cificity of the operation is needed to expand the autonomy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 with maintaining the existing
framework. To this e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individual, social, and national support sys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components of contents composing character education and it is meaningful in view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인성교육
Ⅲ.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분석
Ⅳ.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