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ound Noun swu in Korean, from a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A Reply to Chung (2017)

이용수 3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생성문법학회
저자명
Tae Sik Kim
간행물 정보
『생성문법연구』제28권 제1호, 69~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defends an analysis of a bound noun swu in Kim (2011, 2014) which argues that the bound noun is crucially related to a small n projection. He claims that in a Root Modal reading, the small n assigns a theta-role, but in a Epistemic Modal reading, it does not assign any theta-role. Other researches (Ha 2007, Chung 2007, Tchoe 2015) also have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the bound noun swu. Recently, Chung (2017) provides a neat literature review of those studies and concludes that no theory thus far is adequate. He criticizes Kim (2014) on several accounts: the violation of A-over-A principle; the unaccusative predicate without vP in a Epistemic Modal reading. However, A-over-A principle is somewhat strong; CP with vP and T adn P without vP can be dealt with a further distinction of vP and v*P (Chomsky 2001). More importantly, Kim (2014) provides theoretical uniformity with other bound nouns.

목차

1. Introduction
2. Kim (2011, 2014)
3. The criticism of Kim (2014) by Chung (2017)
4. The advantage of Kim (2014) over the others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Tae Sik Kim. (2018).Bound Noun swu in Korean, from a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A Reply to Chung (2017). 생성문법연구, 28 (1), 69-90

MLA

Tae Sik Kim. "Bound Noun swu in Korean, from a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A Reply to Chung (2017)." 생성문법연구, 28.1(2018): 69-9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