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Applying Virtual Realit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채진(Jin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1, 108~11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관리 단계와 소방학교 교육과정별로 VR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관성을 고려하여 분류하고, AHP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VR 소방교육훈련 프로그램 중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소방교육훈련 분야별 구체적 교육훈련 프로그램
에 대해 그 중요도와 시급도성을 감안하여 상대적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소방교육훈련 대분류에서는
대응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분류에서는 예방단계의 안전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분류의 상대적 우선순
위는 예방단계에서 지하철역사와 같은 밀폐 공간에 화재 발생시, 대피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구현이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대비단계에서는 특수소방차량 조작 시뮬레이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응단계에서는 실화재 가상현실 시뮬
레이션 훈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구단계에서는 화재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화재상황을 판단하는 가상현실 훈
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VR program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associations by the disaster management phase and firefighting school curriculum, and set priorities among VR fire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s using AHP analysis., The relative priority is given considering its importance and urgen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class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sponse. The relative priority of the subcategories was highest in the prevention stage. The simulation implementation for the evacuation experience was highest in closed spaces, such as a subway, and the simulation for the special firefighting vehicle was highest in the contrast phase. In the response phase, real fire simulation training was the highest. In the recovery phase, virtual reality training was the most effective in determining the fire situation based on the fire databas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