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Rack Compartment using Barriers on Reducing the Fire Spread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조규환(Gyu-Hwan Cho) 여인환(In-Hwan Yeo)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1, 66~7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랙크 내 설치되는 차단막은 초기 화재확산을 지연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소화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천장형 스프링클러의 입장에서는 소화수의 원활한 공급에 장애물로서 비춰질 수도 있다. 이에 In-Rack 스프링클러와
차단막을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차단막의 설치조건에 따른 화재확산 지연성능 및 In-Rack 스프링
클러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델 화재실험을 통해 차단막의 설치
조건에 따른 화재확산 지연성능과 In-Rack 스프링클러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랙크 내에 수평과 수직
차단막을 동시에 설치한 경우, 4배 이상의 화재확산 지연성능이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획화로 인한 구획 내
온도 상승 또한 약 2∼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In-Rack 스프링클러가 조기에 작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효과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 barrier installed within a rack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laying the initial spread of fire but it can be an obstacle to
a ceiling-type sprinkler installed for extinguishing fires and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An in-rack sprinkler and a barrier can be applied at the same time, but a study on a barrier’s ability to delay fire spread or its effect on the in-rack sprinkler is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barrier on the delay of fire spread and the in-rack sprinkler according to installation conditions through the reduced scale fire test. As a result, the delay in fire spread increased more than four times when a horizontal barrier and a vertical barrier we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was also increased two to three times with the compartment, resulting in the early operation of the in-rack sprinkler.
목차
1. 서 론
2. 랙크 차단막 관련 연구사례
3. 실험개요
4.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