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er s Motive to teach a class that free from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언지(Ha, EonJi) 정광순(Jeong, KwangS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교사의 수업을 대상으로 ‘교과서 벗어나기 수업’을 해 온 과정을 밝히고, 각 과정에 작용한 동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하교사의 8년간의 수업 자료 38편과 관련 성찰 자료 50편을 수집하여(2017년 6월~10월: 5개월),
하교사가 교과서를 벗어나는 수업을 어떻게 왜 시도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교사의 교과서 벗어나기 수업 시도 과정은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시기별 동인을 찾았다. 첫째, ‘교과서 수업을 재구성 해 보는 시기’로 각 교과 교과서
의 차시수업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교과서를 벗어나려고 하였고, 이는 ‘수업을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동기였다. 둘째, ‘차시를 만들어서 해 보는 시기’로 교과서의 차시 중 한 차시를 새로 만들어서 수업 하면서 교과서를 벗어나려고 하였다. 이는 ‘나
만의 수업을 찾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다. 셋째,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 통합형 수업을 만들어서 하는 시기’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2~5개의 교과를 통합해서 수업을 만들어서 하면서 교과서를 벗어났다. 이렇게 한 동력은 ‘학생과 소통하며 수업을 만들고 싶은 마음’이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searched for teachers motives and process who continuously tried to teach a class that free from textbooks. For this purpose, Teacher 하(Ha)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 process of tried to teach a class that free from textbooks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ach motive was identified by
each period. The first period was ‘recomposi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motive of this period was the mind to want to be good at class . The second period was the period of one lesson development. It was ‘I wanted to find my own lesson’ that led me to move in a way that I made one lesson at the lesson level. Third period was the
period of development the unit based on the theme. It was because of my desire to mak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students, which led me to create unit as a subject that could integrate about two or five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설계
Ⅲ. 하교사의 수업에 대한 기술
Ⅳ. 교과서를 벗어나는 수업으로 이끈 동인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