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Handball Coaches’ Leadership Styles on Self-Management and Team Cohe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만(Choi Jong-M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665~6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핸드볼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 자기관리 및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핸드볼 지도자와 선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8∼11월 국내 전국규모 대회
에 참여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총 446명(남자 학생선수: 309, 여자 학생선수: 137)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4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핸드볼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 중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은 선수의 자기관리 및 팀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지도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학생선수의 자기관리 뿐만 아니라 팀 응집력에 도움이 되어 경기력 향상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asic information for handball coaches and player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oaches’ leadership styles on players’ self-management and team cohesion.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with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ationwide athletic
meetings during 2017,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46 participants (male:309, female: 137). Data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 softwa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raining, directive behavior, rewarding
posi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ehavior have a positive impact on players’ self-management and team cohesion. In addition, positive leadership styl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by contributing not only to student players’ self-management but also to team cohes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