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Preference and Education Demand: Focused on Teaching·Learning Models and Metho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Lee Soo Jeong) 김민정(Kim M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377~39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8년 NCS기반 교육과정의 전면 시행을 앞둔 시점에서 문서상의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
사의 선호도와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향후 전문교과 교사의 교수 실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개발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334명의 응답에 대한 분석 결과, 먼저 교수·학습 4가지 모형
(학생의 경험·체험 중심의 활동 학습, 학생들 간 소통 중심의 협력 학습, 학생의 자기 주도적 탐구학습, 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형 학습) 중 학생의 경험·체험 중심의 활동 학습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응답자의 ‘교직 경력’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의 경우는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학생들 간 소통 중심의 협력 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답자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정도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4가지 모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습’과 ‘프로젝트 학습’, ‘문제해결 학습’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이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등 후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lan to impro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urriculum in the document to be stabilize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at the point when NCS based curriculum is going to be implemented completely. For this,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 demand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analyzed, so that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raw improvement plan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promote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ability to implement instru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otal 334 respondents preferred students’ experience based learning activities among 4 teaching·learning models(students’ experience based learning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among students, self-directed research study, convergence learning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red
teaching·learning model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but regarding gender, female teachers preferred ‘cooperative learning among students’ than male teachers. The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 demand according to respondents’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howed that the four types had high
education deman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Especially, there was high education demand on ‘practice’, ‘projec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learn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subsequent support based on the above result such as teachers’ training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resour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