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ndard Setting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vised Science Curriculu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경(Kim, Hyun-Kyung) 정진수(Jeong, Jin-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305~3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해 필요한 성취수준별 능력 특성과 분할점수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성취수준별 능력 특성과 분할 점수가 타당한지, 그리고 과학교육 상황에서 적용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대표 문항을 분석하여 성취수준별 능력 특성을 기술한 후 변형된 Angoff 방법을 적용하여 분할점수를 설정했다. 이 과정에 28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2015 학업성취도 평가의 40개 문항에 각각의 성취수준에서
최소 능력 학생에게 기대하는 문항 정답률에 근거하여 분할점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2010년에서 2016년까지 시행된 학업성취도 평가의 9학년 과학 성적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경향성도 분석했다. 그 결과 2010년에서 2016년까지 우
수성취 수준 학생의 비율이 점차로 감소했고, 보통성취 수준 학생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설정한 분할점수가 타당하다는 것, 그리고 성취수준 설정 방법이 학교 상황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로 설정된 성취수준별 능력 특성은 학생, 교사 그리고 학교에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ut scores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n science education and to validate the standard setting. Additio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reasonableness and to determine the standard setting process can be applied in science educational circumst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set cut scores using the modified Angoff method. This method required 28 experts who were asked to evaluate 40 items of NAEA and estimated the proportion of minimally competent examinee that would correctly answer the item.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ninth graders’
science achievement from 2010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 the advanced-level showed a decrease while that of the proficient-level showed an increase from 2010 to 2016. These results showed reasonableness of cut scores and offered empirical evidence that the standard setting process is generally
applicable in school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andard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vel of student achievement was defined so that we can help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by providing them with basic in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