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liefs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혜진(Shin Hae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413~4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호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하고 있는 22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SPSS 23.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당한세상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우울증은 낮아졌으며,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높아질수록 우울증도 낮아졌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낙관성 및 인지적 유연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우울에 대한 상담 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수준에 대한 탐색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고 나아가, 낙관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촉진을 통한 우울의 예방 및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A total of 227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liefs in a just world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whereas, was positively related to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 each other. Second, both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this indicated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stronger beliefs in a just world would have higher levels of optim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which, in turn would decrease the levels of depression. Third, du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where beliefs in a just world affected students’ optimism positively, which, subsequently had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lexibility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depression.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