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Group Deliberation by an Elementary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Reorganizing a Social Studies Lesson Plan for the Sixth Grad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평국(Kim, Pyeong-g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초등 사회과 수업설계서 초안을 재구성하기 위해 수업연구회 교사들이 집단 숙의를 전개해가는 양상과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법을 활용하여 집단 숙의의 전 과정을 녹음하였고(90
분), 이 자료를 연구자가 직접 6개월에 걸쳐 전사한 이후 전사 텍스트(A4 33쪽)를 주제별 약호화 단계들을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과의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집단 숙의의 내용 측면의 분석 결과, 주요 쟁점 3가지, 즉 인권 침해
사례 상황을 교사가 제시함과 학생이 도출함 사이의 갈등, 학습 소재로서 학생의 일상생활 사례와 외국의 사례 사이의 갈등, 성격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으로 단일접근과 복수 접근 사이의 갈등임을 확인하였다. 집단 숙의의 절차 측면의 분석 결과
는 숙의자들이 보고, 탐색 질문과 답변 등의 숙의적 움직임들을 통해 이런 쟁점들을 발견하고, 쟁점을 심의하고, 수업자가 자신의 강령을 수정한 후에 의사 결정에 이르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숙의자들 사이의 강령의 차이와 약한 갈
등,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협력적인 숙의, 학생의 모둠 활동 결과 존중, 학습 소재와 학생의 일상생활 경험의 관련성, 학생의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른 학습 양식의 존중을 이유로 한 의사 결정, 수업자의 실천적 이론의 발전을 가져온 숙의로 특징지어졌다.
영문 초록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r deliberation of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s in reconstructing a Social Studies lesson plan Understanding human rights and having a mind to protect human rights for the sixth grader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Data were gathered through audio-taping. The author transcribed (A4 33 pages) the audio-taped data for six months,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thematic analysis, and established trustworthiness. Three issues were conflicts between: a) teacher s presentation of
situations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versus students presentation of situations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in the intervening phase; b) using instances in foreign countries versus instances in students daily lives as learning materials in the intervening phase; and c) using single instructional strategy versus multiple instructional strategies in the intervening phase. The teachers followed the procedure of identifying the issues through deliberative contributions of reporting, exploratory questioning et al.; considering the relative weights of contributions; transforming
deliberators platforms or practical theories; and coming to a decision-making. The deliberation was characterized as; one in which teachers had differences in platforms and mild conflicts, a collaborative one based upon high friendship; one with more emphasis upon students and teachers rather than subject matter and milieu; one in
which decision making was based upon respect for the result of students activities, relevance to students experienc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udents personality; and one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presenter s platform.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or teachers group
deliberation and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수업설계서 재구성을 위한 집단 숙의
Ⅴ.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