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Restricted Idle Time Using Gluteus Maximus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Metabolic Syndrome in High School Gir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우(Kim tae wo) 장창현(Jang Chang 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5호, 583~5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휴시간을 활용한 대둔근 강화운동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체력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고 경기도 소재 G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진행 되었으며, 대둔근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학교일과중 유휴시간을 이용하여 8주간 주 3회 50분(준비운동과 정리운동 포함)을 실시하였으며 4주마다 세트수를 증가하여 강도를 조절하였다. 8주간의 대둔근 운동프로그램이 여고생들의 체력,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각 항목의 특정 값에 대한 평균(M) 및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피검자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시기간, 집단과시기간 상호작용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상호작용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방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설정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력요인은 운동그룹에 서 심폐지구력(p<.01), 근력(p<.01), 순발력(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 시기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사증후군은 운동그룹에서 허리둘레(p<.01), HDL-C(p<.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TG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운동그룹의 변화를 살펴봤을 때 대둔근 운동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이 시간과 장소, 운동기구 등에 구애를 받지 않고 운동참여를 할 수 있어 여고생들의 체력향상,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며, 건강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의 다양한 운동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 effect of 8 weeks restricted Idle time gluteus maximus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metabolic syndrome in high school girls. A total of 26 high-school girl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roup(CG, n=13) and muscular strength exercise group(EG, n=13). Participants in EG performed of muscular
strength, 50 min/session, 3 session/week, for 8 weeks. All the data were producted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from SPSS ver.18.0. Two-way ANOVA was used, and Duncan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interaction effect. The statistic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05. As for the physical fitness, in cardiopulmonary endurance(p<.01), muscular strength(p<.01), power(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values in the exercise group after completing the gluteus maximus training. A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waist circumference(p<.01), HDL-C(p<.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and post- values in the exercise group after completing the gluteus maximus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exercise program of the gluteus maximus can help the high school girls to improve their physical fitness and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because they can participate in the exercise without any time, pla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