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scription of Qualities of Elementary Lower-Grade Students Learning Sty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광순(Jeong Kwang soon) 강충열(Kang Choong youl) 권동택(Kwon Dong ta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3호, 181~2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적절한 학습 대상이 ‘주제’라는 것을 근거로 주제 중심 개별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들이 학습하는 과정을 참여 관찰하여 개별 학생들의 학습 양식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저학년 학생의 학습 특성을 탐색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저학년 6명과 그들의 부모님을 대상으로 2010학년도 1학기 동안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각 학생의 학습 방식을 분석하였는데, 나영이는 문제 풀이방식, 선 우은은 자기 방식으로, 경찬이는 관망하는 방식으로, 하늘이는 재미있는 일로, 원준 이는 도전하는 것으로, 민정이는 보여주기 위한 방식으로 궁부하고 있었다. 이 결과 를 기초로 볼 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습 양식은 (초등학교의) 학습을 통해서 형성되기 보다는 이미 형성된 것이 (학교)학습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는 것, 이 시기 학생의 보편적인 학습 방식은 독서하는 방식이라는 것, 마지막으로 강조하거나 중심에 있는 것보다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미세하고 작은 것에 먼저 인 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analyze which qualities there are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style. To this study, the Action-Research Method was applied. Six students and their parents are participated in. An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earning or Study means to solve problems for Na-Young, to do something which she likes by her favorite way for Eun, have a distant view of something for Kyeong-Chan, to do something she felt fun for Ha-Nul, to challenge something he wants for Weon-Ju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 use some style learned into new learning situations not learn the self-learning style through subject elementary school. Second, universal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style was Reading. Third,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recognized to something but smaller, more naive, the edge of a scene not status of middle or focused.
목차
Ⅰ. 서 론
Ⅱ. 회전문 방식의 주제 학습 모형
Ⅲ. 연구 설계
Ⅴ. 학생별 학습 양식 분석
Ⅳ.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습 방식 탐색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