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 concept, parent s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s achievement pressur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욱(Kim Hyun wook) 안세근(Ahn Se K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의 성취 압력이 학생의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 료를 바탕으로 부모 성취압력, 학교 성취압력, 학생의 학업자아개념 요인 간의 관계 를 파악하기 위해서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성취압력 요인이 학교 성취압력보다 학업자아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진학과 관련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학교의 성취압력은 과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모형의 적합도는 χ 2이 5102.492(p<.01), TLI .854, RMSEA .078, CFI .874, RMR .053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 구의 결과는 부모의 긍정적인 성취압력 행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학교와 가정의 적극적인 유대가 요구됨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s achievement pressure, school s achievement pressure and student s academic self concept by using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Education data. Base on the se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 First, parent s achievement pressure factor was more effective on the student s academic self concept than school s achievement pressure. In parent s achievement pressure, the next stage of education factor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Second, school s achievement pressure also effected on the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 s achievement pressure, homework factor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Third, the model fit, χ 2 5102.492(p<.01), TLI .854, RMSEA .078, CFI .874, RMR .053 wa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based on this results, parent need elaborate relationship with school to develop the student s self concep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