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ing and Teacher-Directed Questioning on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은주(Son Eun Joo) 박영태(Park Young Te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4호, 201~2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동화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만 5세 남아 39명, 여아 36명 모두 7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동화를 이용한 유아주도적 질문 프로그램과 동화를 이용한 교사주도적 질문 프로그램을 실험도구로 하고, 동화이해력 검사를 측정도구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이해력은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은 모두 통제집단에 비하여 효과는 있으나 이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다 둘째, 동화이해력 중 구조이해는 유아주도적 질문, 교사주도적 질문은 모두 통제집단에 비하여 효과는 있으나 이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다. 셋째, 동화이해력 중 추론이해는 유아주도적 질문, 교사주도적 질문은 모두 통제집단에 비하여 효과는 있으나 이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ing and teacher-directed questioning on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s, 75 5-year-old children, 39 boys and 36 girls, were selected. Experimental tools were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ing and teacher-directed questioning reading a story. Measuring tools were story comprehension test. The mai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story comprehension was more effective in young children-directed and teacher-directed questioning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xperimental groups. Seco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was more effective in young children-directed and teacher-directed question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xperimental groups. Third, reasoning was more effective in young children-directed and teacher-directed question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xperimental group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