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ase of pedagogical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the PC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태호(Park Tae 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4호, 103~1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PCK에 기초한 국어과 교수 변환 사례에 대한 최초 연구이다. 선행 연구가 주로 Chevallard(1985)와 Brousseau(1997)의 이론을 기반으로 부정적 교수 변환(Diadatic Transposition) 사례를 제시하였다면, 이 연구에서는 PCK에 기초한 긍정적 교수 변환 사례를 제시하였다. PCK 관련 선행 연구(Grossman, 1990;Marks, 1990;Cochran, 1993 외;Magnusson et al, 1999)에 따르면 학생 이해 및 표상은 PCK와 교수 변환의 핵심 요소가 된다. Wilson(1988), Ball(1988), Chen & Ennis(1995), Delaney(1997), Park & Oliver(2008) 등을 비롯한 Shulman(1987) 이후의 후속 연구자들은 PCK의 핵심 요소 중에서 주로 표상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표상 중심의 연구 는 학생 이해를 전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 하위권 학생들의 배움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에 학생 이해(선개념, 오개념, 난개념, 흥미도 등)와 표상 도구(설명, 발문, 서사, 연습, 단서, 매체 등)를 결합하여 국어과 교수 변환 평가표를 구안하였다. 그런 다음에 두 교사의 동일 차시 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 연구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실패한 교수 변환 사례 외에도 성공한 교수 변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case of pedagogical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the PCK. Contrary to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presented the Diadatic Transposition based on the Chevallard(1985) and Brousseau(1997), this study shows the positive case of Diadatic Transposition.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Grossman, 1990;Marks, 1990;Cochran, 1993 ;Magnusson et al, 1999), comprehension and representation is the main factor of the pedagogical Transformation. Many researchers after Shulman(1987) including Wilson(1988), Ball(1988), Chen & Ennis(1995), Delaney(1997), Park & Oliver(2008) mostly researched the representation of the PCK. However, those research tend to focused on high-leveled students so it could not guarantee the learning of students with lower-level. So this study combined the comprehension(Background knowledge, Misconception, learning difficulty, motivation) and the representation knowledge(explanation, example, narrative, questioning, media)and made the conversion figur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Also, analyzing two same lectures from different teachers enabled to show not only the negative case of pedagogical Transformation but also the positive case of the pedagogical Transform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여는 말
Ⅱ. PCK 개념과 요소
Ⅲ. 교수 변환과 국어 수업 사례
Ⅳ. 닫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