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리(Kang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4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종교 유형에 따라 대학생들의 사이비과학의 이해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해보았다. 서울과 대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59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지는 운수와 운명 5문항, 초심리학 5문항, 내세와 영적 존재 4문항, 대체 의학 4문항, UFO와 미스터리 5문항, 그리고 창조과학 4문항의 총 2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사이비과학에 대한 동의 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체의학 영역에 대한 동의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이비과학에 대한 이해에 성별과 종교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높은 동의 정도에는 TV나 서적과 같은 매체의 영향력이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작용했다고 판단되었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을 위하여 사이비과학의 개념이 포함된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사이비과학에 대한 지식 전달 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통해 과학 지식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성별과 종교 유형에 따른 사이비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기 위하여 토론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학교의 과학교육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TV나 서적과 같은 매체를 통해 올바른 과학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Subjects were 359 undergraduates who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Daejeon.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27 items on 6 domains: fortune and fate, parapsychology, spiritual beings, alternative medicine, UFO and mystery, and creationism.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had many problems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 knowledges and pseudoscientific beliefs. Especially, many students considered the alternative medicine as a science. Second, the gender and religions might affect student ideas on pseudoscience.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the creationism and spiritual beings. By relig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the creationism, spiritual beings, fortune and fate, and alternative medicine. Third, student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were affected by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book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the pseudoscience. This curriculum must emphasize concepts of the pseudoscien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various views of the pseudoscience by religion and gender. To do this, science teachers should provide appropriate materials and chances to discuss various aspects of the pseudoscience by religion and gender.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books should provide a well-organised scientific progra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