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atistical Analysis of Changes in Reservoir Storage According to Standar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and Dam Water Releas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병일(Kim Byungil) 정도범(Chung Do Bum) 신사철(Shin Sha Ch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2호, 409~4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가뭄은 일단 발생하면 공학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제한적이므로 발생 이전에 이를 예상하고 대비하는 위험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댐 저수량과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 및 댐 방류량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조사한다. 30년 이상의 운영 자료를 보유한 6개 다목적댐의 208개의 연간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장기 시간 척도를 갖는 표준강수 증발산지수는 댐 저수량에 대한 예측력을 갖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8월 및 10월에 하천 유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방류하는 양이 클수록 다음해 4월에 저수량이 많다는 결과를 얻었다. 9월에 홍수가 발생할 경우 홍수조절을 위한 수문방류량도 저수량과 관련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대비하기 위한 다목적댐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drought can’t be solved technically once it occurs, it is important to anticipate and prepare for the drought before it occurs. This study statist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am reservoir storage, standar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and dam water release conditions using regression analysis. 208 annual data from 6 multi-purpose dams with over 30 years in South Korea 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andar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with a long-term time scale has a predictive power on dam reservoir storage. The larger the amount of average monthly discharge in August and October, the more water will be stored in April of the following year. Floodgate discharge in September is also related to the dam water storage. Using these results, we can estimate the possibility of drought in the next year, and if the possibility is high, we can find out how to improve resilience against drought by controlling the dam discharge condition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분석 결과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